[EYE잘보여] 녹내장의증?, 고안압증? – 저 녹내장인가요?!

건강검진 결과표에서 ‘녹내장 의심’ ‘녹내장 의심’이라는 말을 보신 분들도 계실 거예요.보통건강검진으로하는안저검사는카메라로망막사진을쾅!
찍고그사진을보면서안과의사가판독하는겁니다.

건강검진에서는 한 장의 사진만 보고 판독합니다.

C/DRatio라는 ‘시신경유두함몰비’가 크면 녹내장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보수적으로 ‘녹내장 의심 또는 녹내장 의심’으로 판독합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녹내장은 단순히 시신경의 외형만으로는 진단하지 않습니다.

구조적 이상과 시야로 대표되는 기능적 이상이 모두 있을 때 진단하므로 사진으로는 의심할 뿐입니다.

오늘은 우리를 불안하게 하는 ‘녹내장증(Glaucoma Suspect)’과 ‘고안압증(Ocular Hypertens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녹내장증은 녹내장이 아닙니다.

현재 녹내장은 아니지만 나중에 녹내장이 발병할 위험이 있습니다.

1) 녹내장(Glaucoma Suspect) 정의: 전방각도검사(Gonioscopy)를 통해 개방각도(Openangle) 상태가 확인되며, 다음 중 하나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① 안압이 압평안압계(Aplanation tonometry)로 측정했을 때 21㎜Hg보다 크거나, ② 시신경유두 또는 망막신경섬유층의 소견이 녹내장성 손상처럼 보이거나(그림 1), ③ 시신경유두연(Discrim)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얇아지거나 경사가 생긴 경우(그림 1)

그림 1. (A) 정상 시신경, (B) 오른쪽 눈에 비해 큰 시신경유두함몰비(C/Dratio)와 얇아진 아래쪽 시신경유두근(Rim)

④ 신경섬유층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 이상 소견 – 특히 위 또는 아래 끝에서 (그림 2)

그림 2 오른쪽 눈(OD)에 비해 왼쪽 눈(OS)에서 망막신경섬유층(RNFL)의 평균 두께가 얇고 위&아래와 코 쪽에서 상당히 차이가 납니다.

⑤ 시신경유두출혈(그림3)그림 3. 시신경유두출혈(Dischemorrhage) : 녹내장성 변화가 의심되는 소견입니다.

⑥ 반대쪽 눈과 시신경유두 또는 시신경유두근의 차이가 큰 경우(C/DRatio가 0.2보다 크게 다른가) → 신경조직 손상을 시사합니다.

⑦ 시야검사에서 초기 녹내장성 손상으로 인한 시야결손을 나타내는 경우 2) 일반적으로 안과의사가 녹내장증이라고 하면 개방각 녹내장증을 말합니다.

2. 고안압증(Ocular Hypertension; OHT)은 녹내장 발생의 중요한 위험인자입니다.

고안압증과 녹내장증도 다릅니다.

1) 고안압증의 정의 ①안압은 21㎜Hg 이상에서 ②정상 시신경유두+정상시에서 ③안압 상승의 원인이 되는 눈 소견 또는 전신 이상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2) 역학적 특성 ①서양에서 40세 이상 인구에서 고안압증 유병률은 4-10%로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Primary Open-Angle Glaucoma;POAG)의 1%보다 높습니다.

② 우리나라에서는 고안압증 유병률이 0.22%로 서양에 비해 낮습니다.

③ 치료하지 않은 고안압증은 5년 후 녹내장으로 진행될 확률이 약 9.5%라고 보고한 연구가 있었습니다(Am J Ophthalmol, 2004; 138:458-467.).치료를 받지 않은 고안압증이 15년 후 시력 상실로 이어질 확률은 1.5~10.5%, 치료를 하면 0.3~2.4%라고 합니다.

3. 어떤 사람이 녹내장에서 녹내장으로 더 잘 진행될까요? – 위험인자1) 지속적으로 높은 안압(30mmHg 이상) 2) 얇은 중심 각막 두께 3) 수직 시신경 유두 함몰비(Vertical Cup to Disc Ratio, 그림 4-A) > 0.74) 고령 5) 시야검사에서의 이상 소견 – 험프리 시야검사에서 PSD(Pattern Standard Deviation)값 증가 6) 비늘 벗겨짐(그림 4-B) 또는 색소분산증후군(Pigment Dispersion Syndrome, 녹내장 8) 손상 반대)그림 4. (A) 수직 시신경 유두함몰비, (B) Exfoliation은 녹내장의 위험인자입니다.

(C) 색소분산증후군에서는 전체적인 홍채색소 결손에 의해 역조명 하(Retroillumination)에서 빛의 투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령, 수직&수평 시신경 유두함몰비, PSD, 안압, 중심 각막두께를 통해 고안압증 환자에서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Arch Ophthalmol, 2002;120:714-720Ocular Hypertension Treatment Study(OHTS)에서 ‘원전성 개방각 녹내장(POAG)’ 발병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다변량 회귀 분석을 통해 음영 처리된 인자가 OHT에서 POAG로의 진행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중심 각막의 두께가 얇을수록, 안압이 높을수록 수직 시신경 유두 함몰비(C/DRatio)가 클수록 녹내장으로 진행 리스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위험인자를 초기에 모두 평가해 놓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지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첫 진료 때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정확한 세극등 현미경 검사, 전방 각도경 검사를 통해 전방 각도의 상태와 색소 분산 정도, 신생 혈관 및 거짓 비늘 여부까지 모두 파악하여 이차적 녹내장의 원인은 없는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4. 치료의 시작은 신중하게 결정합니다.

모든 고안압증(OHT)을 치료하는 것은 아닙니다.

4. 치료의 시작은 신중하게 결정합니다.

모든 고안압증(OHT)을 치료하는 것은 아닙니다.

녹내장 의심(Glaucoma Suspect; GS)과 고안압증(Ocular Hypertension; OHT)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녹내장은 실명하는 질환이라고 하는데 건강검진에서 녹내장이 의심된다고?!
’ 걱정하면서 안과에 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 눈 이야기가 여러분들의 걱정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렸으면 좋겠습니다.

수고하셨어요.녹내장 의심(Glaucoma Suspect; GS)과 고안압증(Ocular Hypertension; OHT)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녹내장은 실명하는 질환이라고 하는데 건강검진에서 녹내장이 의심된다고?!
’ 걱정하면서 안과에 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 눈 이야기가 여러분들의 걱정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렸으면 좋겠습니다.

수고하셨어요.

error: Alert: Content selection is disabled!!